Probabilistic Method

Paul Erdős는 확률을 이용해서 그래프 이론과 조합론 분야의 정리를 증명하는 "확률론적 방법론"을 창안했습니다. 어떤 방식의 증명 방법인지 알아봅시다.

이 글은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십 블로그에 동시 게재되었습니다.

원문: infossm.github.io/blog/2022/05/15/probabilistic-method/


그래프 이론과 확률. 왠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두 개념을 처음으로 엮은 것은 헝가리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 (Paul Erdős)였습니다. 그는 확률을 이용해서 그래프 이론과 조합론 분야의 정리를 증명하는 "확률론적 방법론" (Probabilistic Method)을 창안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확률론적 방법론이 어떤 방식의 증명 방법인지 몇 가지 정리를 통해 알아봅시다.

Warm-Up: 2-Colorable Hypergraphs

다음을 증명해 봅시다.


Problem. 집합 SS가 있고, SS의 부분집합 mm개가 있다. 이 부분집합들은 모두 크기가 kk 이상이다. m<2k1m<2^{k-1}일 때, SS의 원소들을 빨강이나 파랑으로 칠해서, 단색으로 칠해진 부분집합이 없도록 만드는 것이 항상 가능함을 보이시오.


그래프 이론의 언어로 바꿔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orem. 하이퍼그래프 (hypergraph) H\mathcal{H}mm개의 하이퍼엣지 (hyperedge)를 가지고, 각각의 크기는 kk 이상이라고 하자. m<2k1m < 2^{k-1}이면 H\mathcal{H}는 2-colorable하다.


우선 정의부터 짚고 넘어갑시다. 하이퍼그래프는 그래프를 확장한 개념입니다. 기존의 그래프에서는 간선이 두 개의 정점만을 이었다면, 하이퍼그래프에서는 간선이 몇 개의 정점이든 포함할 수 있습니다. 즉, 하이퍼엣지는 정점의 부분집합으로 정의됩니다.

그래프에서 색칠 문제는 정점을 적절히 색칠해서 각 간선에 포함된 두 정점의 색이 다르도록 만드는 문제였습니다. 하이퍼그래프 색칠 문제도 마찬가지로, 각 하이퍼엣지가 단색으로 (monochromatic) 이루어지지 않도록 색칠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하이퍼그래프가 2-colorable하다는 것은 각 정점을 빨간색 또는 파란색으로 색칠해서, 빨간색 정점만으로 혹은 파란색 정점만으로 구성된 하이퍼엣지가 존재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색칠한 것을 proper (vertex) 2-coloring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인 그래프가 2-colorable한지 판별하는 것은 간단한 그래프 탐색을 통해 가능합니다. 한 정점이 빨간색이라면 이웃한 정점은 반드시 파란색이어야 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하이퍼그래프가 2-colorable한지 판별하는 것은 NP-complete 문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 정리는 하이퍼그래프가 2-colorable할 충분조건을 하나 제시하고 있습니다.

왠지 적절한 알고리즘을 찾아서 규칙에 따라 색칠하고 나면 각 간선이 monochromatic하지 않음을 증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직접 시도해 보면 그런 알고리즘이 쉽사리 찾아지지 않을 겁니다. 여기서 확률론적 방법론의 강력함이 드러납니다. 실제 색칠 방법을 구성하지 않고도 존재성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of

각 정점을 12\frac{1}{2} 확률로 빨간색 또는 파란색으로 색칠해 봅시다. 크기가 kkk' \ge k인 하이퍼엣지가 monochromatic할 확률은 얼마일까요? 각 정점을 독립적으로 색칠했기 때문에, 확률은 p=2×(12)k=(12)k1(12)k1p = 2 \times \left(\frac{1}{2}\right)^{k'} = \left(\frac{1}{2}\right)^{k'-1} \le \left(\frac{1}{2}\right)^{k-1} 이 됩니다,

이를 이용해서 그래프에 존재하는 단색 하이퍼엣지 개수의 기댓값을 구해보겠습니다. 각 하이퍼엣지 ee에 대해서, 랜덤 변수 XeX_eee가 monochromatic할 때 11, 아닐 때 00으로 정의합시다. 단색 하이퍼엣지의 개수는 랜덤 변수 X=eE(H)XeX = \sum_{e\in E(\mathcal{H})} X_e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기댓값의 선형성을 이용하면,

E[X]=eE(H)E[Xe]=eE(H)Pr(Xe=1)eE(H)(12)k1=m(12)k1<1\mathbf{E}[X] = \sum_{e\in E(\mathcal{H})} \mathbf{E}[X_e] = \sum_{e\in E(\mathcal{H})} \mathbf{Pr}(X_e = 1) \le \sum_{e\in E(\mathcal{H})} \left(\frac{1}{2}\right)^{k-1} = m \left(\frac{1}{2}\right)^{k-1} < 1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기댓값이 1보다 작다는 것은 X=0X=0일 확률이 양수임을 의미합니다. 즉, 단색 하이퍼엣지가 존재하지 않는 2-coloring이 반드시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blacksquare


확실한 사실을 증명하는 데에 확률을 사용하는 것이 꺼림칙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증명에서 확률이 나타내는 것은 무작위 시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경우의 수의 비율에 불과합니다. 위의 증명을 다시 적으면, 모든 2-coloring에 대해서 단색 하이퍼엣지의 수의 평균을 내었더니 1보다 작더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평균이 1보다 작으니 단색 하이퍼엣지가 0개인 2-coloring이 존재하는 것이죠. 만약 각 정점을 12\frac{1}{2} 이 아닌 다른 확률로 색칠했다면 평균 대신 가중치 평균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눈여겨볼 점은, 이 증명이 실제 구성 방법에 대해서 말해주지는 않는다는 점입니다. 사실상 모든 가능성을 따져 보는 방식이기 때문에 존재성에 대해서만 알려주고 어떤 방식으로 색칠해야 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2-colorable하지 않은 kk-uniform (모든 하이퍼엣지의 크기가 kk인) 하이퍼그래프의 하이퍼엣지 수의 최솟값을 m(k)m(k)로 표기합시다. 위의 정리는 m(k)2k1m(k) \ge 2^{k-1}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에르되시는 마찬가지로 확률론적 방법론을 이용해서 m(k)<k22k+1m(k) < k^2 2^{k+1}임을 보였습니다.

Graphs of High Girth and High Chromatic Number

이번엔 그래프의 채색수 (chromatic number)에 대한 정리를 살펴보겠습니다. 그래프 GG의 chromatic number란 proper coloring에 필요한 최소 개수의 색깔을 말하며, χ(G)\chi(G)로 표기합니다.

그래프 GG가 주어졌을 때 kk개의 색으로 proper coloring이 가능한지 판별하는 문제는 NP-complete입니다. 하지만 그래프의 형태가 복잡하고 조밀할수록 χ(G)\chi(G)가 크다는 사실은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트리를 비롯한 이분 그래프에서는 χ(G)=2\chi(G) = 2이고, 만약 그래프가 kk-clique (크기가 kk인 부분 완전 그래프)를 포함한다면 χ(G)k\chi(G) \ge k입니다. 또한 그래프의 최대 degree를 Δ(G)\Delta(G)라고 하면, 간단한 관찰을 통해 χ(G)Δ(G)+1\chi(G) \le \Delta(G) +1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높은 chromatic number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GG가 복잡하고 조밀한 일부분을 포함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프가 얼마나 복잡하고 조밀한 부분을 포함하는지 말해주는 척도 중 하나가 바로 girth입니다. Girth란 그래프에서 가장 짧은 사이클의 길이를 말하며, g(G)g(G)로 표기합니다. 사이클이 없는 forest의 경우 g(G)=g(G) = \infty로 정의됩니다. Girth가 큰 그래프는 국소적으로 트리 형태를 가지므로, 국소적으로는 적은 수의 색깔만으로 색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그래프 전체를 색칠하는 데 필요한 색깔의 수도 적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GG의 girth가 얼마나 크든 간에 GG는 얼마든지 큰 chromatic number를 갖는 것이 가능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직관과 상반되는 사실입니다.


Theorem. (Erdős, 1959) 임의의 k,lk, l에 대해서, χ(G)>k\chi(G) > k이고 g(G)>lg(G) > l인 그래프 GG가 존재한다.


증명에 앞서서 간단한 확률론적 사실 하나를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마르코프 부등식 (Markov's inequality)이라고 불리는 정리입니다.


Theorem. (Markov's inequality) 음이 아닌 랜덤 변수 XX와 양수 a>0a>0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Pr(Xa)E[X]a\mathbf{Pr}(X \ge a) \le \frac{\mathbf{E}[X]}{a}

직관적으로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기댓값을 계산할 때 XaX \ge a인 항들만 생각하면, aa 이상의 값들이 도합 Pr(Xa)\mathbf{Pr}(X \ge a)의 확률로 곱해집니다. 따라서 E[X]aPr(Xa)\mathbf{E}[X] \ge a \cdot \mathbf{Pr}(X \ge a)를 만족하고, 이를 정리하면 위의 부등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of

랜덤 그래프 Gn,pG_{n,p}nn개의 정점이 있고, 각 정점 사이에 간선이 있을 확률이 pp인 그래프로 정의하겠습니다.

증명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충분히 큰 nn과 적당한 확률 pp에 대해서, Gn,pG_{n,p}에 길이가 짧은 사이클의 수가 적을 확률이 절반보다 큼을 보입니다.
  • 마찬가지로, Gn,pG_{n,p}의 chromatic number가 높을 확률이 절반보다 큼을 보입니다.
  • 각각의 확률이 절반보다 크므로, 짧은 사이클의 수가 적으면서 chromatic number가 큰 그래프가 존재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그래프에서 몇 개의 정점을 제거해서, chromatic number는 높게 유지한 채 길이가 ll 이하인 사이클을 모두 제거합니다.

첫 번째 과정을 위해 먼저 길이가 ii인 사이클을 세어 봅시다. 정점 ii개의 순열을 생각했을 때 사이클을 이룰 확률은 pip^i이고, 이러한 순열의 개수는 nin^i 이하입니다. (서로 다른 순열이 같은 사이클을 나타낼 수 있음을 고려하면, 사이클을 이룰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더 작아집니다.) 따라서, 길이가 ll 이하인 사이클의 수를 XX라고 하면

E[X]i=3lnipi\mathbf{E}[X] \le \sum_{i=3}^{l} n^i p^i

가 성립합니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p=nλ1p = n^{\lambda-1}으로 두겠습니다. 그러면

E[X]i=3lnλinλl1nλ\mathbf{E}[X] \le \sum_{i=3}^{l} n^{\lambda i} \le \frac{n^{\lambda l}}{1 - n^{-\lambda}}

입니다. λl<1\lambda l < 1이 되도록 λ\lambda를 잡으면 우변이 o(n)o(n)이므로, 충분히 큰 nn에 대해 E[X]<n4\mathbf{E}[X] < \frac{n}{4}입니다. Markov's inequality에 따르면 Pr(Xn2)<12\mathbf{Pr}(X \ge \frac{n}{2}) < \frac{1}{2}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반보다 큰 확률로 X<n2X < \frac{n}{2}입니다.

이번에는 절반보다 큰 확률로 chromatic number가 크다는 사실을 보일 차례입니다. 그래프의 coloring은 다루기 까다로우므로, 비교적 간단한 문제로 변형해 봅시다. kk가지 색으로 그래프를 색칠하는 것은 정점 집합을 kk개의 독립 집합 (independent set, 서로 인접하지 않은 정점의 집합)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독립 집합의 크기를 α(G)\alpha(G)라고 했을 때, χ(G)α(G)n\chi(G)\alpha(G) \ge n이 성립합니다. 즉, α(G)<nk\alpha(G) < \lceil\frac{n}{k}\rceil를 보이면 χ(G)>k\chi(G) > k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대 독립 집합의 크기가 aa 이상일 확률 Pr(α(Gn,p)a)\mathbf{Pr}(\alpha(G_{n,p}) \ge a)를 계산해 봅시다. 최대 독립 집합의 크기가 aa 이상이라는 것은 크기가 aa인 독립 집합이 존재한다는 것과 동치입니다. 크기가 aa인 집합의 수는 (na)na\binom{n}{a} \le n^a이고 각 집합이 독립 집합일 확률은 (1p)a(a1)/2<epa(a1)/2(1-p)^{a(a-1)/2} < e^{-pa(a-1)/2}이므로,

Pr(α(Gn,p)a)(na)(1p)a(a1)/2<naepa(a1)/2\mathbf{Pr}(\alpha(G_{n,p}) \ge a) \le \binom{n}{a} (1-p)^{a(a-1)/2} < n^a e^{-pa(a-1)/2}

입니다. nn \to \infty일 때 위 식이 0에 수렴하도록 만들기 위해 a=3plnna = \lceil \frac{3}{p} \ln n \rceil으로 두면,

Pr(α(Gn,p)a)<nan3(a1)/2=na/2+3/20\mathbf{Pr}(\alpha(G_{n,p}) \ge a) < n^a n^{-3(a-1)/2} = n^{-a/2+3/2} \to 0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히 큰 nn에 대해 Pr(α(Gn,p)a)>12\mathbf{Pr}(\alpha(G_{n,p}) \ge a) > \frac{1}{2}입니다.

각각의 확률이 절반보다 크므로, X<n2X < \frac{n}{2}이면서 α(G)<a\alpha(G) < a인 그래프 GG가 존재합니다. XX개의 짧은 사이클 각각에서 최대 한 개의 정점을 제거하면 길이가 ll 이하인 사이클이 없는 그래프 GG'을 얻을 수 있습니다. 즉, V(G)>n2\lvert V(G')\rvert > \frac{n}{2}이고 g(G)>lg(G') > l입니다. 한편, 정점을 제거하는 것은 최대 독립 집합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므로, α(G)α(G)<a\alpha(G') \le \alpha(G) < a입니다. 마지막으로 이 그래프의 chromatic number를 계산해 봅시다.

χ(G)V(G)α(G)>n/2an/2(3lnn)/p=n/23n1λlnn=nλ6lnn.\chi(G') \ge \frac{\lvert V(G')\rvert}{\alpha(G')} > \frac{n/2}{a} \ge \frac{n/2}{(3\ln n) / p} = \frac{n/2}{3n^{1-\lambda}\ln n} = \frac{n^\lambda}{6\ln n}.

이는 λ\lambda가 얼마나 작든, nn \to \infty일 때 무한대로 발산합니다. 따라서 충분히 큰 nn을 잡으면 χ(G)>k\chi(G') > k인 그래프 GG'를 찾을 수 있습니다. \blacksquare


이 증명 역시 girth와 chromatic number가 큰 그래프의 구성 방법을 말해주지는 않습니다. 실제로 이 정리가 증명된 이후 10년 동안이나 확률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construction이 나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확률론적 방법론의 장점이자 단점입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확률론적 방법론을 통해 그래프 이론의 정리들을 증명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여기서는 확률과 기댓값을 사용하는 증명만을 소개했지만, 분산이나 Lovász local lemma 등 더 깊이 있는 확률론적 도구를 사용하는 증명들도 있습니다. 관심 있는 독자들은 참고 자료 [1, 2, 3]에 있는 책과 강의 노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습 문제

  1. n!2n1\frac{n!}{2^{n-1}}개 이상의 해밀턴 경로를 가지는 크기 nn의 tournament (완전 방향 그래프)가 존재함을 증명하시오.
  2. mm개의 간선을 가지는 그래프 GGm2\frac{m}{2}개 이상의 간선을 가지는 이분 그래프를 부분 그래프로 가짐을 증명하시오.
  3. k3k\ge 3n=2kn=\lfloor\sqrt{2}^k\rfloor에 대해서, nn개의 정점을 가진 완전 그래프의 간선을 빨간색 또는 파란색으로 색칠하자. 크기가 kk인 단색 clique가 존재하지 않도록 색칠할 수 있음을 증명하시오. (Erdős, 1947)
  4. α(G)vV(G)1deg(v)+1\alpha(G) \ge \sum_{v\in V(G)} \frac{1}{\deg(v)+1}임을 증명하시오. (Caro (1979), Wei (1981))
  5. 평면 위에 점 10개가 있다. 점들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든, 반지름이 1인 동전 10개를 겹치지 않게 놓아서 이 점들을 전부 덮을 수 있음을 증명하시오.

연습 문제 힌트

  • 4번: 정점들의 무작위 순열을 생각해 봅시다. 어떤 기준으로 정점들을 고르면 독립 집합을 만들 수 있을까요?
  • 5번: 무한한 동전으로 평면을 채워 봅시다.

참고 자료

  1. Bruce Reed, Michael Molloy. Graph Colouring and the Probabilistic Method
  2. Noga Alon, Joel H. Spencer. The Probabilistic Method
  3. Jiří Matoušek, Jan Vondrák. The Probabilistic Method Lecture Notes
  4. Paddy. Probabilistic Methods in Graph Theory / Lecture 2: High Girth and High Chromatic Number
  5. Ehssan Khanmohammadi. The Probabilistic Method In Graph Theory
  6. Probabilistic method - Wikipedia
  7. Graph coloring - Wikipedia / Graphs with high chromatic number